안전관련2009. 8. 12. 16:23

쓸 때마다 찾게 되는 아스키코드표

그래서 이번기회에 찾아서 정리해봤습니다.

   

   

기본 아스키 코드표

Dec

Hex

Oct

Bin

ASCII

Dec

Hex

Oct

Bin

ASCII

0

0×00

0

0

NULL

64

0×40

100

1000000

@

1

0×01

1

1

SOH

65

0×41

101

1000001

A

2

0×02

2

10

STX

66

0×42

102

1000010

B

3

0×03

3

11

ETX

67

0×43

103

1000011

C

4

0×04

4

100

EOT

68

0×44

104

1000100

D

5

0×05

5

101

ENQ

69

0×45

105

1000101

E

6

0×06

6

110

ACK

70

0×46

106

1000110

F

7

0×07

7

111

BEL

71

0×47

107

1000111

G

8

0×08

10

1000

BS

72

0×48

110

1001000

H

9

0×09

11

1001

HT

73

0×49

111

1001001

I

10

0×0A

12

1010

LF

74

0×4A

112

1001010

J

11

0×0B

13

1011

VT

75

0×4B

113

1001011

K

12

0×0C

14

1100

FF

76

0×4C

114

1001100

L

13

0×0D

15

1101

CR

77

0×4D

115

1001101

M

14

0×0E

16

1110

SO

78

0×4E

116

1001110

N

15

0×0F

17

1111

SI

79

0×4F

117

1001111

O

16

0×10

20

10000

DLE

80

0×50

120

1010000

P

17

0×11

21

10001

DC1

81

0×51

121

1010001

Q

18

0×12

22

10010

SC2

82

0×52

122

1010010

R

19

0×13

23

10011

SC3

83

0×53

123

1010011

S

20

0×14

24

10100

SC4

84

0×54

124

1010100

T

21

0×15

25

10101

NAK

85

0×55

125

1010101

U

22

0×16

26

10110

SYN

86

0×56

126

1010110

V

23

0×17

27

10111

ETB

87

0×57

127

1010111

W

24

0×18

30

11000

CAN

88

0×58

130

1011000

X

25

0×19

31

11001

EM

89

0×59

131

1011001

Y

26

0×1A

32

11010

SUB

90

0×5A

132

1011010

Z

27

0×1B

33

11011

ESC

91

0×5B

133

1011011

[

28

0×1C

34

11100

FS

92

0×5C

134

1011100

\

29

0×1D

35

11101

GS

93

0×5D

135

1011101

]

30

0×1E

36

11110

RS

94

0×5E

136

1011110

^

31

0×1F

37

11111

US

95

0×5F

137

1011111

_

32

0×20

40

100000

SP

96

0×60

140

1100000

.

33

0×21

41

100001

!

97

0×61

141

1100001

a

34

0×22

42

100010

"

98

0×62

142

1100010

b

35

0×23

43

100011

#

99

0×63

143

1100011

c

36

0×24

44

100100

$

100

0×64

144

1100100

d

37

0×25

45

100101

%

101

0×65

145

1100101

e

38

0×26

46

100110

&

102

0×66

146

1100110

f

39

0×27

47

100111

'

103

0×67

147

1100111

g

40

0×28

50

101000

(

104

0×68

150

1101000

h

41

0×29

51

101001

)

105

0×69

151

1101001

i

42

0×2A

52

101010

*

106

0×6A

152

1101010

j

43

0×2B

53

101011

+

107

0×6B

153

1101011

k

44

0×2C

54

101100

'

108

0×6C

154

1101100

l

45

0×2D

55

101101

-

109

0×6D

155

1101101

m

46

0×2E

56

101110

.

110

0×6E

156

1101110

n

47

0×2F

57

101111

/

111

0×6F

157

1101111

o

48

0×30

60

110000

0

112

0×70

160

1110000

p

49

0×31

61

110001

1

113

0×71

161

1110001

q

50

0×32

62

110010

2

114

0×72

162

1110010

r

51

0×33

63

110011

3

115

0×73

163

1110011

s

52

0×34

64

110100

4

116

0×74

164

1110100

t

53

0×35

65

110101

5

117

0×75

165

1110101

u

54

0×36

66

110110

6

118

0×76

166

1110110

v

55

0×37

67

110111

7

119

0×77

167

1110111

w

56

0×38

70

111000

8

120

0×78

170

1111000

x

57

0×39

71

111001

9

121

0×79

171

1111001

y

58

0×3A

72

111010

:

122

0×7A

172

1111010

z

59

0×3B

73

111011

;

123

0×7B

173

1111011

{

60

0×3C

74

111100

<

124

0×7C

174

1111100

|

61

0×3D

75

111101

=

125

0×7D

175

1111101

}

62

0×3E

76

111110

>

126

0×7E

176

1111110

~

63

0×3F

77

111111

?

127

0×7F

177

1111111

DEL

   

추가적인 설명과 함께있는 아스키 코드표

0000  

0000  

000  

000    

00 

NUL

NULL 문자

0000  

0001  

001  

001    

01 

SOH

헤더 시작(Start Of Header)

0000  

0010  

002  

002    

02 

STX

본문 시작, 헤더 종료(Start of TeXt)

0000  

0011  

003  

003    

03 

ETX

본문 종료(End of TeXt)

0000  

0100  

004  

004    

04 

EOT

전송 종료, 데이터 링크 초기화(End Of Transmission)

0000  

0101  

005  

005    

05 

ENQ

응답 요구(ENQuiry)

0000  

0110  

006  

006    

06 

ACK

긍정응답(ACKnowledge)

0000  

0111  

007  

007    

07 

BEL

경고음(BELl)

0000  

1000  

008  

010    

08 

BS 

박스페이스(BackSpace)

0000  

1001  

009  

011    

09 

HT 

수평 탭(Horizontal Tab)

0000  

1010  

010  

012    

0A 

LF 

개행(Line Feed)

0000  

1011  

011  

013    

0B 

VT 

수직 탭(Vertical Tab)

0000  

1100  

012  

014    

0C 

FF 

다음 페이지(Form Feed)

0000  

1101  

013  

015    

0D 

CR 

복귀(Carriage Return)

0000  

1110  

014  

016    

0E 

SO 

확장문자 시작(Shift Out)

0000  

1111  

015  

017    

0F 

SI 

확장문자 종료(Shift In)

0001  

0000  

016  

020    

10 

DLE

전송제어 확장(Data Link Escape)

0001  

0001  

017  

021    

11 

DC1

장치 제어(Device Control 1)

0001  

0010  

018  

022    

12 

DC2

장치 제어(Device Control 2)

0001  

0011  

019  

023    

13 

DC3

장치 제어(Device Control 3)

0001  

0100  

020  

024    

14 

DC4

장치 제어(Device Control 4)

0001  

0101  

021  

025    

15 

NAK

부정응답(Negative AcKnowledge)

0001  

0110  

022  

026    

16 

SYN

동기(SYNnchronous idle)

0001  

0111  

023  

027    

17 

ETB

전송블록 종료(End of Transmission Block)

0001  

1000  

024  

030    

18 

CAN

무시(CANcel)

0001  

1001  

025  

031    

19 

EM 

매체 종료(End of Medium)

0001  

1010  

026  

032    

1A 

SUB

치환(SUBstitute)

0001  

1011  

027  

033    

1B 

ESC

제어기능 추가(ESCape)

0001  

1100  

028  

034    

1C 

FS 

파일경계 할당(File Seperator)

0001  

1101  

029  

035    

1D 

GS 

레코드 그룹경계 할당(Group Seperator)

0001  

1110  

030  

036    

1E 

RS 

레코드경계 할당(Record Seperator)

0001  

1111  

031  

037    

1F 

US 

장치경계 할당(Unit Seperator)

0010  

0000  

032  

040    

20 

SPC

스페이스(SPaCe)

0111  

1111  

127  

177    

7F 

DEL

삭제(DELete)

   

DOS 시절부터 사용하던 코드라 지금은 쓰이지 않는 코드들도 들어 있습니다.

   

   

아래는 html 상에서 사용되는 아스키 코드들 입니다.

Name Code 로 동작하고

Number Code 로 넣어도 동작합니다.

&hearts; 을 넣어주면 이게 변환되어 하트가~ .. 라고 해도 전 아직 그렇게까지 사용하시는 분은 뵙지 못했습니다.

   

Name Code

Number Code

Glyph

Description

&lsquo;

  

'  

left single quote

&rsquo;

  

'  

right single quote

&sbquo;

  

‚  

single low-9 quote

&ldquo;

  

"  

left double quote

&rdquo;

  

"  

right double quote

&bdquo;

  

"  

double low-9 quote

&dagger;

  

†  

dagger

&Dagger;

  

double dagger

&permil;

  

per mill sign

&lsaquo;

  

‹  

single left-pointing angle quote

&rsaquo;

  

›  

single right-pointing angle quote

&spades;

  

♠  

black spade suit

&clubs;

  

♣  

black club suit

&hearts;

  

black heart suit

&diams;

  

♦  

black diamond suit

&oline;

  

  

overline, = spacing overscore

&larr;

  

←  

leftward arrow

&uarr;

  

↑  

upward arrow

&rarr;

  

→  

rightward arrow

&darr;

  

↓  

downward arrow

&trade;

  

™  

trademark sign

   

Name Code

Number Code

Glyph

Description

  

&#09;

  

horizontal tab

  

&#10;

  

line feed

  

&#32;

  

space

  

&#33;

!  

exclamation mark

&quot;

&#34;

"  

double quotation mark

  

&#35;

#  

number sign

  

&#36;

$  

dollar sign

  

&#37;

%  

percent sign

&amp;

&#38;

&  

ampersand

  

&#39;

'  

apostrophe

  

&#40;

(  

left parenthesis

  

&#41;

)  

right parenthesis

  

&#42;

*  

asterisk

  

&#43;

+  

plus sign

  

&#44;

,  

comma

  

&#45;

-  

hyphen

  

&#46;

.  

period

   

Name Code

Number Code

Glyph

Description

&frasl;

&#47;

/  

slash

  

&#48;-

  

digits 0-9

  

&#57;

  

  

  

&#58;

:  

colon

  

&#59;

;  

semicolon

&lt;

&#60;

<  

less-than sign

  

&#61;

=  

equals sign

&gt;

&#62;

>  

greater-than sign

  

&#63;

?  

question mark

  

&#64;

@  

at sign

  

&#65;-

  

uppercase letters A-Z

  

&#90;

  

  

  

&#91;

[  

left square bracket

  

&#92;

\  

backslash

  

&#93;

]  

right square bracket

  

&#94;

^  

caret

  

&#95;

_  

horizontal bar (underscore)

  

&#96;

`  

grave accent

  

&#97;-

  

lowercase letters a-z

  

&#122;

  

  

  

&#123;

{  

left curly brace

  

&#124;

|  

vertical bar

   

Name Code

Number Code

Glyph

Description

  

&#125;

}  

right curly brace

  

&#126;

~  

tilde

  

&#127;-

  

unused

  

&#149;

  

  

&ndash;

&#150;

–  

en dash

&mdash;

&#151;

—  

em dash

  

&#152;-

  

unused

  

&#159;

  

  

&nbsp;

&#160;

    

nonbreaking space

&iexcl;

&#161;

¡  

inverted exclamation

&cent;

&#162;

¢  

cent sign

&pound;

&#163;

£  

pound sterling

&curren;

&#164;

¤  

general currency sign

&yen;

&#165;

¥  

yen sign

&brvbar; or &brkbar;

&#166;

¦  

broken vertical bar

&sect;

&#167;

§  

section sign

&uml; or &die;

&#168;

¨  

umlaut

&copy;

&#169;

©  

copyright

&ordf;

&#170;

ª  

feminine ordinal

&laquo;

&#171;

«  

left angle quote

&not;

&#172;

¬  

not sign

&shy;

&#173;

  

soft hyphen

&reg;

&#174;

®  

registered trademark

&macr; or &hibar;

&#175;

¯  

macron accent

   

Name Code

Number Code

Glyph

Description

&deg;

&#176;

°  

degree sign

&plusmn;

&#177;

±  

plus or minus

&sup2;

&#178;

²  

superscript two

&sup3;

&#179;

³  

superscript three

&acute;

&#180;

´  

acute accent

&micro;

&#181;

µ  

micro sign

&para;

&#182;

¶  

paragraph sign

&middot;

&#183;

·  

middle dot

&cedil;

&#184;

¸  

cedilla

&sup1;

&#185;

¹  

superscript one

&ordm;

&#186;

º  

masculine ordinal

&raquo;

&#187;

»  

right angle quote

&frac14;

&#188;

¼  

one-fourth

&frac12;

&#189;

½  

one-half

&frac34;

&#190;

¾  

three-fourths

&iquest;

&#191;

¿  

inverted question mark

&Agrave;

&#192;

À  

uppercase A, grave accent

&Aacute;

&#193;

Á  

uppercase A, acute accent

&Acirc;

&#194;

  

uppercase A, circumflex accent

   

Name Code

Number Code

Glyph

Description

&Atilde;

&#195;

à 

uppercase A, tilde

&Auml;

&#196;

Ä  

uppercase A, umlaut

&Aring;

&#197;

Å  

uppercase A, ring

&AElig;

&#198;

Æ  

uppercase AE

&Ccedil;

&#199;

Ç  

uppercase C, cedilla

&Egrave;

&#200;

È  

uppercase E, grave accent

&Eacute;

&#201;

É  

uppercase E, acute accent

&Ecirc;

&#202;

Ê  

uppercase E, circumflex accent

&Euml;

&#203;

Ë  

uppercase E, umlaut

&Igrave;

&#204;

Ì  

uppercase I, grave accent

&Iacute;

&#205;

Í  

uppercase I, acute accent

&Icirc;

&#206;

Π 

uppercase I, circumflex accent

&Iuml;

&#207;

Ï  

uppercase I, umlaut

&ETH;

&#208;

Р 

uppercase Eth, Icelandic

&Ntilde;

&#209;

Ñ  

uppercase N, tilde

&Ograve;

&#210;

Ò  

uppercase O, grave accent

&Oacute;

&#211;

Ó  

uppercase O, acute accent

&Ocirc;

&#212;

Ô  

uppercase O, circumflex accent

&Otilde;

&#213;

Õ  

uppercase O, tilde

   

Name Code

Number Code

Glyph

Description

&Ouml;

&#214;

Ö  

uppercase O, umlaut

&times;

&#215;

×  

multiplication sign

&Oslash;

&#216;

Ø  

uppercase O, slash

&Ugrave;

&#217;

Ù  

uppercase U, grave accent

&Uacute;

&#218;

Ú  

uppercase U, acute accent

&Ucirc;

&#219;

Û  

uppercase U, circumflex accent

&Uuml;

&#220;

Ü  

uppercase U, umlaut

&Yacute;

&#221;

Ý  

uppercase Y, acute accent

&THORN;

&#222;

Þ  

uppercase THORN, Icelandic

&szlig;

&#223;

ß  

lowercase sharps, German

&agrave;

&#224;

à  

lowercase a, grave accent

&aacute;

&#225;

á  

lowercase a, acute accent

&acirc;

&#226;

â  

lowercase a, circumflex accent

&atilde;

&#227;

ã  

lowercase a, tilde

&auml;

&#228;

ä  

lowercase a, umlaut

&aring;

&#229;

å  

lowercase a, ring

&aelig;

&#230;

æ  

lowercase ae

&ccedil;

&#231;

ç  

lowercase c, cedilla

&egrave;

&#232;

è  

lowercase e, grave accent

   

Name Code

Number Code

Glyph

Description

&eacute;

&#233;

é  

lowercase e, acute accent

&ecirc;

&#234;

ê  

lowercase e, circumflex accent

&euml;

&#235;

ë  

lowercase e, umlaut

&igrave;

&#236;

ì  

lowercase i, grave accent

&iacute;

&#237;

í  

lowercase i, acute accent

&icirc;

&#238;

î  

lowercase i, circumflex accent

&iuml;

&#239;

ï  

lowercase i, umlaut

&eth;

&#240;

ð  

lowercase eth, Icelandic

&ntilde;

&#241;

ñ  

lowercase n, tilde

&ograve;

&#242;

ò  

lowercase o, grave accent

&oacute;

&#243;

ó  

lowercase o, acute accent

&ocirc;

&#244;

ô  

lowercase o, circumflex accent

&otilde;

&#245;

õ  

lowercase o, tilde

&ouml;

&#246;

ö  

lowercase o, umlaut

&divide;

&#247;

÷  

division sign

&oslash;

&#248;

ø  

lowercase o, slash

&ugrave;

&#249;

ù  

lowercase u, grave accent

&uacute;

&#250;

ú  

lowercase u, acute accent

&ucirc;

&#251;

û  

lowercase u, circumflex accent

   

Name Code

Number Code

Glyph

Description

&uuml;

&#252;

ü  

lowercase u, umlaut

&yacute;

&#253;

ý  

lowercase y, acute accent

&thorn;

&#254;

þ  

lowercase thorn, Icelandic

&yuml;

&#255;

ÿ  

lowercase y, umlaut

   

 

참고
http://www.asciitable.com/,http://www.ascii-code.com/

'안전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니코드 쉽게 입력  (0) 2009.08.24
Posted by 1000c
인터넷/검색2009. 7. 20. 16:33

세계적으로 보면 가장 많이 쓰이는 검색엔진은 구글(google)입니다.
물론 한국은 예외로 네이버나 다음보다 아랫선에 있는 검색엔진 입니다.

그런데 근래 검색을 하다보니.
그다지 도움을 주지 않는 페이지들이 자주 떠서 그 페이지를 제외하고 검색할 검색어를 매번 넣게 되었습니다.
-site:happycampus.com -site:reportworld.co.kr -site:report.paran.com -site:reportnet.co.kr -site:jisikworld.com -site:reportshop.co.kr -site:www.reportnara.co.kr -site:yesreport.co.kr -site:reportkorea.co.kr -site:reportplus.co.kr -site:report.co.kr -site:www.reportg.com -site:happyreport.co.kr -site:reportmania.co.kr -site:reportclub.net -site:www.findreport.net -site:agendanet.co.kr -site:bizforms.co.kr -site:ref.daum.net -site:inetbook.co.kr
검색어 뒤에 한칸을 띄시고 내용을 붙여 넣으시면 일부 유료 레포트 제공기관의 정보를 생략 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검색시 구글 상위에 저런 site가 뜨는게 계속 신경쓰여서 참고용으로 적어두었습니다.
구글은 이와같이 "-" 검색어를 지원하기 때문에 필요없는 단어들을 적어놓고 검색시 복사해 넣으면 검색에 드는 시간을 절약 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1000c
머리비우기2009. 7. 20. 13:19

부지런함과 게으름 _ 게으름뱅이가 잠잘 때 깊게 쟁기질을 하라
검약 _ 옷을 살 때는 지갑과 의논하라
절제 _ 술과 음식과 여자와 게으름을 절제하라
건강 _ 너무 늦게 아프지 말라
남자와 여자 _ 남자의 가치를 말해주는 것은 여자다
가난 _ 지갑이 가벼우면 마음이 무겁다
부자 _ 돈과 좋은 품행이 부자를 만든다
사업 _ 돈의 가치를 알고 싶으면 돈을 빌려보라
성공 _ 최고가 되어라
시간 _ 오늘의 하루는 내일의 이틀이다
자기계발 _ 녹슨 쇠로는 좋은 칼을 만들 수 없다
말과 행동 _ 자신의 화제에 대해 너무 많이 이야기하지 말라
화 _ 이성이 고삐를 쥐게 하라
사랑 _ 사랑받고 싶거든 사랑스럽게 되어라
미덕 _ 다이아몬드보다 더 귀한 것은 미덕이다
양심 _ 얼마나 올바르게사는가?
예절 _ 방문은 겨울 햇살처럼 짧아야 한다
겸손 _ 고귀한 사람은 고개를 숙인다
용서 _ 타인의 티끌을 눈감아 주어라
습관 _ 나쁜 습관은 지나간 달력과 함께 버려라
친절 _ 남의 친절은 대리석에 새겨 놓아라
공부 _ 글은 유식하게, 말은 예사롭게 하라
노력과 끈기 _ 인내하는 자만이 얻을 수 있다
침묵 _ 수다스런 까치에게 누가 귀를 기울일까?
신중함 _ 나를 완전하게 알리지는 말라
자존심과 교만 _ 교만한 사람이 가장 많은 모욕을 당한다
정의 _ 정의가 없는 용기는 만용이다
정직 _ 거짓은 한 다리로 서지만 진실은 두 다리로 선다
대인관계 _ 이 세상 최고의 재산은 진정한 친구이다
지혜와 어리석음 _ 오직 지혜로워만 져라
종교 _ 몸으로 사는 사람은 영원히 살지 못한다
만족 _ 세상에 충분히 가진 사람은 없다
행복 _ 과거에 충실하고 현재를 즐겨라

출처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php?bid=2503439
Posted by 1000c
활용2009. 7. 13. 14:39

이 글은 아래의 내용을 참조하여 쓰여졌습니다.

http://guide.tistory.com/114

   

자료를 저장하는데 어떤 프로그램을 쓰고 계시나요 ?

   

저는 OneNote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몇몇 불편한 점도 있긴하지만 추천할 만한 프로그램 입니다.

   

OneNote는 Office 2007 Enterprise 버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Tistory 는 여러가지 편집기를 지원합니다. 그 중 하나가 Ms Word 입니다.

블로그 에 글을 쓰기 위해서는 OneNote -> Ms Word -> Tistory 의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

   

저도 아직 설정이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처음부터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원노트 상에서 파일 -> 보내기 -> 블로그 를 선택합니다.

그럼 문서가 Word 형으로 변환되며 계정이 없을 경우 등록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등장합니다.

"지금 등록(N)" 을 눌러 지금 등록 해 보겠습니다.

   

현재 목록에 Tistory 가 없으므로 기타 를 선택한뒤 다음을 누릅니다.

   

이제 계정의 정보를 등록하는 메뉴가 나타나게 됩니다.

API는 MetaWebLog를 선택해 주시고 자신의 Tistory ID 와 password 를 넣어주면 됩니다.

블로그 게시 URL은 아래를 참조해 주세요

   

Tistory 관리 화면입니다.

환경설정 -> BlogAPI 설정 으로 들어가주세요

BlogAPI 주소 의 내용을 넣으면 됩니다. 보통 자신의 Tistory주소/api 형태로 됩니다.

ID는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주의! API를 사용 중으로 바꾸어주셔야 이 기능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단히 사용하기를 클릭해 주시면 사용 중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림 옵션 이란 것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블로그에 이미지를 업로드 하게 됩니다. 다른 서버를 사용할 수 있는 기능도 있고 아예 이미지를 업로드 하지 않는 설정도 있습니다. 기본설정은 내 블로그 공급자 로 되어있으니 따로 설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API및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위와 같은 창이 뜨게 됩니다.

   

인터넷을 통해 보내는 정보는 누군가 에게 보여질 수 있습니다. MSN이나 NateOn등으로 하는 대화 혹은 E-mail등은 언제든지 누군가가 훔쳐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ID와 pass를 입력할 때에는 이 정보를 '암호화' 하여 보내게 됩니다.

네이버의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전 네이버를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으며 네이버를 홍보할 생각은 전혀 없다는 것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

네. 여기에 잘 설명해 두었군요. SSL이라는 암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ID와 PASS를 암호화하여 통신하는 것을 이야기 합니다. SSL는 2009년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암호화 방식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내용은 즉 ID와 PASS가 암호화 되지 않을 상태로 연결됩니다 라는 말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어쩌겠습니까. 이런 방식은 암호화를 지원하지 않는다는데…

그래서 중요한 곳에 쓰이는 아이디는 비밀번호를 조금 다르게 쓰는 것이 좋습니다.

   

확인을 누르면 계정 등록이 끝납니다.

   

암호를 저장하지 않을 경우 매번 암호를 넣어주어야 하는 경우가 생기니 집이라면 그냥 암호저장 을 해 두는 것도 편한 방법입니다.

   

   

어떤 분류에 글을 올릴 것인가 를 고르기 위해 범주 삽입 버튼을 누릅니다.

만약 범주를 넣지 않으신다면

   

이와 같이 범주 없음 상태로 글이 쓰여지게 됩니다.

   

현재 저는 블로그를 막 만든 참이라 범주가 하나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저기에 나온 것처럼 새 범주를 하나 입력해 보겠습니다.

   

   

계정관리를 누르시면 현재 등록된 계정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제 게시를 누르면 블로그에 글이 쓰여지게 됩니다.

게시는 일반적으로 글을 올리는 방식이고

초안으로 게시는 비공개 상태로 글을 올리는 방식입니다.

   

자~ 드디어 끝났습니다..

내용은 길지만 설정하는 부분이 대부분이라

이후부터는 작성하신 내용을 편하게 블로그에 올릴 수 있습니다.

   

지금 보고 계신 글이 원노트를 이용해 작성된 글입니다 ^^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활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버노트 내에서 글상자(코드) 입력, evernote code  (0) 2014.05.04
Posted by 1000c
잡담2009. 7. 13. 14:14

안녕하세요.

이 글을 보고 계시다면 제 블로그를 찾아주신 것이겠죠?

세번째 줄이지만 찾아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유용한 정보들 많이 올릴테니 자주 찾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Posted by 1000c